Frameout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소중히 여기며,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합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서비스 제공 및 상담, 제안서 접수 등 정해진 목적 외에는 사용되지않습니다. 또한, 이용자의 동의 없이는 개인정보를 외부에 제공하지 않습니다.
Frameout은 입사지원 및 제안 요청/상담을 위해 이름,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의 정보를 수집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입사지원 및 채용전형 진행, 입사지원정보 검증을 위한 제반 절차 수행과 제안서 작성, 상담 응대 등 업무 처리 목적에 한해 이용됩니다. 해당 정보는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입사 진행 절차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용자는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미동의 시 일부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수집 목적 달성 후 즉시 파기되며, 보관이 필요한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일정 기간 보관됩니다. 기본 보유 기간은 1년이며, 이후에는 지체 없이 안전하게 삭제됩니다. 이용자는 언제든지 개인정보 삭제 요청이 가능합니다.
AI가 인간의 인지 구조를 모방하는 단계에 도달하면서, '뉴로모픽 컴퓨팅(Neuromorphic Computing)'이 UX 설계에 미칠 파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뉴로모픽 컴퓨팅은 인간의 뇌신경 회로를 모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시냅스와 뉴런의 작동 방식에서 영감을 받은 정보 처리 방식을 따릅니다. 이는 전통적인 폰 노이만 아키텍처와 달리 메모리와 연산이 분리되지 않고, 병렬적이고 이벤트 기반(event-driven)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훨씬 더 효율적이고 인간 뇌에 가까운 반응 방식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BM의 TrueNorth 칩은 10억 개 이상의 시냅스와 100만 개의 뉴런을 통해 초저전력 패턴 인식을 가능케 하며, 스마트 시계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 바 있습니다. 또한 SynSense의 Speck 칩은 실시간 움직임 감지를 위해 초소형 카메라와 결합되어 스마트 홈과 보안 시스템 등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뉴로모픽 칩은 기존 디지털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학습과 반응을 수행하며, 에너지 효율성과 반응성 면에서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인간과 비슷한 방식으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UX 설계 전반에 있어 보다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상호작용 중심의 인터페이스가 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뉴로모픽 칩 기반의 가정용 로봇은 사람의 음성뿐 아니라 움직임과 표정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감지하여 상황에 맞는 반응을 선택하고, 응답의 타이밍이나 톤도 사용자 감정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로, SynSense와 Prophesee의 협업을 통해 개발된 스마트 비전 시스템은 뉴로모픽 카메라와 이벤트 기반 센서를 조합해, 사람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조명, 음악, 온도 등의 환경 요소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인터페이스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NASA에서 추진 중인 뉴로모픽 기반 탐사 로봇이 있습니다. 이 로봇은 우주 환경에서 제한된 에너지로 주변 지형을 감지하고 자율적으로 경로를 조정하는 데 뉴로모픽 칩을 활용하여, 전통 방식 대비 훨씬 빠르고 안정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UX 측면에서의 영향은 세 가지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첫째, 실시간 감각 인식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 피드백 주기가 짧아지고 인터페이스가 훨씬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둘째, 다양한 감각 데이터(청각, 시각, 촉각 등)의 통합 분석을 통해 몰입감 있는 멀티모달 UX가 가능해집니다. 셋째, 초저전력 작동 덕분에 항상 켜져 있는 상시 감지형 인터페이스 구현이 용이해져, 웨어러블이나 IoT 기반 UX의 지속성과 반응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결과적으로 뉴로모픽 컴퓨팅은 기존 UI를 단순히 보완하는 수준이 아닌, 인간의 행동과 감정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적응형 UX(adaptive UX)’ 시대를 여는 촉매가 될 수 있습니다.
1. 감각 기반 UX 구현
뉴로모픽 칩은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 자극을 동시에 받아들이고 이를 병렬적으로 실시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단일 감각 입력 중심 UX를 넘어, 다중 감각 통합 UX(Multisensory Integrated UX)의 구현을 가능하게 합니다.
실제 사례:
Prophesee Event-based Camera: 빠르게 변화하는 시각 정보를 실시간 감지하여 증강현실(AR) 인터페이스에서 지연 없이 반응
Xperia Touch: 손의 움직임과 음성, 촉각 반응을 동시에 인식해 투사된 가상 인터페이스와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제공
Neuralink 시연: 뇌파 기반 인터페이스에서 촉각 자극에 대한 신경 반응을 동시에 해석해 직접적인 감각적 피드백 UX를 제공
2. 상황 적응형 반응
뉴로모픽 칩은 정형화된 규칙이 아닌, 신호 패턴을 기반으로 다양한 맥락적 상황을 실시간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서도 사용자의 감정과 맥락에 따라 즉흥적이며 자연스러운 반응이 가능합니다.
실제 사례:
Intel Loihi 기반 로봇: 주변 소음 환경에 따라 음성 응답의 볼륨과 속도를 자동 조정
BrainChip Akida 탑재 보안 시스템: 사람의 표정과 시선 변화를 감지해 적대적 상황을 즉시 인식하고 알림 전송
BMW iX 운전석 인터페이스: 운전자의 시선과 표정을 감지해 대시보드 밝기와 피드백 사운드를 자동 조절
3. 에너지 효율과 지속성 중심의 UX 설계
뉴로모픽 칩은 극도로 낮은 전력 소비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이벤트 중심 처리로 불필요한 연산을 줄입니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센싱과 반응이 필요한 환경에서 배터리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
SynSense Speck 칩: 소형 카메라와 결합하여 스마트 도어벨에서 상시 작동 UX 구현
NASA 우주 탐사 로봇: 태양광 기반 전력 상황에서 장시간 자율 탐색을 위한 초저전력 UX 운용 구조 적용
뉴로모픽 컴퓨팅은 UX의 하드웨어적 기반 자체를 바꾸는 기술입니다. 이는 단순한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넘어, 인간 감각과 반응 속도에 최적화된 ‘지능형 경험(Intelligent Experience)’을 가능하게 만듭니다.
다만 현재까지는 UX 설계에 뉴로모픽 컴퓨팅이 본격적으로 적용된 사례가 제한적이며, 기술 자체가 여전히 연구 및 실험적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UX 디자이너와 엔지니어는 이 기술이 제공하는 잠재력과 한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향후 적용 가능 영역을 선제적으로 탐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감정 반응형 인터페이스, 비접촉형 센서 UX, 실시간 피로도 모니터링 등은 뉴로모픽 기반 UX가 실제 구현될 수 있는 대표적인 후보군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센서 설계, 반응 알고리즘, 감각 자극 처리 등 UX 프로세스 전반에서의 협업이 필요합니다.
향후 UX 설계자는 알고리즘뿐 아니라 하드웨어의 구조와 작동 원리, 반응 패턴까지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설계해야 하며, 뉴로모픽 시스템은 그러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의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
FRAMEOUT - Where AI Drives U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