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in touch

개인정보보호정책

Frameout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소중히 여기며,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합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서비스 제공 및 상담, 제안서 접수 등 정해진 목적 외에는 사용되지않습니다. 또한, 이용자의 동의 없이는 개인정보를 외부에 제공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Frameout은 입사지원 및 제안 요청/상담을 위해 이름,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의 정보를 수집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입사지원 및 채용전형 진행, 입사지원정보 검증을 위한 제반 절차 수행과 제안서 작성, 상담 응대 등 업무 처리 목적에 한해 이용됩니다. 해당 정보는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입사 진행 절차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용자는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미동의 시 일부 서비스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수집된 개인정보는 수집 목적 달성 후 즉시 파기되며, 보관이 필요한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일정 기간 보관됩니다. 기본 보유 기간은 1년이며, 이후에는 지체 없이 안전하게 삭제됩니다. 이용자는 언제든지 개인정보 삭제 요청이 가능합니다.
앞으로의 가능성을 함께 열어갑니다!
참고자료가 있다면 첨부해주세요
파일 업로드 중
fileuploaded.jpg
최대 10Mb까지 업로드 가능합니다.
문의 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Oops! Something went wrong while submitting the form.
살아있는 타이포그래피: 가변 폰트(Variable Fonts)가 선사하는 디자인의 자유
하나의 폰트 파일로 수많은 스타일을 구현하는 웹 타이포그래피의 혁명
2025-10-06

서론: '조각상'에서 '살아있는 생명체'로, 타이포그래피의 진화

웹 타이포그래피의 역사는 오랫동안 '타협'의 역사였습니다. 디자이너들은 풍부한 표현을 위해 여러 굵기의 폰트를 사용하고 싶었지만, 폰트 파일 하나를 추가할 때마다 웹사이트의 로딩 속도는 느려졌습니다. Regular, Medium, Bold, Black 등 각 스타일은 거대한 돌 조각상처럼 개별적으로 존재했고, 우리는 그저 주어진 조각상들 중에서 몇 개를 골라 배치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Bold와 Black 사이의 미묘한 굵기, Condensed와 Normal 사이의 절묘한 너비는 인쇄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이상향이었습니다.

하지만 가변 폰트(Variable Fonts)의 등장은 이 모든 것을 바꾸었습니다. 2016년, Apple, Google, Microsoft, Adobe가 합심하여 발표한 이 새로운 폰트 형식은 타이포그래피를 고정된 '조각상'에서, 상황에 따라 형태를 바꾸는 '살아있는 생명체'로 진화시켰습니다.

가변 폰트는 단순히 더 많은 스타일을 제공하는 점진적인 개선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나의 파일 안에 무한한 가능성을 담아낸, 웹 타이포그래피의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입니다. 성능, 반응형 디자인, 그리고 창의적 표현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은 이 기술은, 디자이너에게는 전례 없는 자유를, 사용자에게는 더 빠르고 쾌적한 경험을 선사하며 디지털 타이포그래피의 새로운 르네상스를 열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가변 폰트가 어떻게 작동하며, 우리의 디지털 경험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그리고 이 살아있는 글자들이 앞으로 어떤 미래를 그려나갈 것인지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1. 가변 폰트란 무엇인가: 하나의 파일, 무한한 가능성

가변 폰트의 마법은 그 구조에 있습니다. 과거의 폰트가 각 스타일별로 별도의 파일(예: Inter-Regular.woff2, Inter-Bold.woff2)을 가졌다면, 가변 폰트는 이 모든 스타일 정보를 단 하나의 최적화된 파일(Inter-Variable.woff2) 안에 모두 담고 있습니다.

living-typography-variable-fonts-design-freedom.gif
The evolution of typography with variable fonts.(https://www.monotype.com/resources/expertise/evolution-typography-variable-fonts)

  • '축(Axis)'이라는 개념: 디자인의 조절 장치 가변 폰트의 핵심은 '변형 축(Axis of Variation)'이라는 개념입니다. 폰트 디자이너는 폰트를 만들 때,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여러 축을 미리 정의해 둡니다. 마치 사운드 엔지니어가 이퀄라이저의 각 주파수 대역을 조절하듯, 웹 디자이너는 이 축들의 값을 조절하여 무한에 가까운 스타일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표준 축 (Registered Axes):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개의 표준 축이 있습니다. wght (굵기), wdth (너비), slnt (기울기), ital (이탤릭), opsz (광학 크기)가 그것입니다.
    • 커스텀 축 (Custom Axes): 폰트 디자이너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축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글자의 둥근 정도(Roundness), 세리프(Serif)의 길이, 잉크가 번지는 듯한 효과(Ink Trap) 등을 조절하는 커스텀 축을 만들어, 폰트에 독특한 개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 성능의 혁명: 더 빠르고 가벼운 웹 가변 폰트가 가져온 가장 실질적인 이점 중 하나는 바로 웹 성능의 향상입니다. 과거에는 5가지 굵기의 폰트를 사용하기 위해 5개의 폰트 파일을 서버에서 다운로드해야 했습니다. 이는 5번의 HTTP 요청을 발생시키고, 총 파일 크기도 상당했습니다. 하지만 가변 폰트를 사용하면 단 한 번의 요청으로 하나의 파일만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이 파일은 여러 개의 개별 파일을 합친 것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웹사이트의 로딩 속도를 눈에 띄게 개선하고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을 절약해 줍니다. 이는 특히 네트워크 환경이 좋지 않은 모바일 사용자에게 더 쾌적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디자인의 자유: '사이'를 채우다 성능상의 이점은 시작에 불과합니다. 가변 폰트는 디자이너에게 '주어진 것'을 선택하는 대신, '원하는 것'을 직접 만들 수 있는 자유를 줍니다. Bold(700)는 너무 두껍고 Medium(500)은 너무 얇다고 느꼈던 디자이너는 이제 font-weight: 630; 과 같이 완벽하게 원하는 굵기를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좁은 화면에 텍스트를 더 많이 넣어야 할 때, font-stretch: 92%; 와 같이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글자의 너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스타일과 스타일 '사이'의 모든 간극을 채울 수 있게 되면서, 타이포그래피는 훨씬 더 정교하고 표현력이 풍부한 디자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2. 디자인의 새로운 문법: 가변 폰트가 여는 창의적 표현의 지평

가변 폰트는 정적인 텍스트를 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경험으로 바꾸는 새로운 문법을 제시합니다. 이제 타이포그래피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넘어, 그 자체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고 감성을 전달하는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인터랙션에 반응하는 타이포그래피: 가변 폰트의 축 값은 CSS와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에 실시간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 마우스 호버 효과: 버튼이나 링크 위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텍스트의 굵기가 부드럽게 두꺼워지거나, 글자들이 살짝 넓어지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명확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며 상호작용을 더 즐겁게 만듭니다.
    • 스크롤 연동 효과: 사용자가 페이지를 스크롤함에 따라 헤드라인의 굵기나 너비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효과는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아래로 이끕니다.
    • 다양한 입력과의 결합: 더 나아가, 마이크 입력(목소리가 커지면 글자가 두꺼워짐), 주변 밝기 센서(어두워지면 글자가 밝아짐), 심지어 사용자의 감정 상태(긍정적인 단어에 반응)와도 연결하여 전에 없던 새로운 인터랙티브 경험을 창조할 수 있습니다.
    • 표현의 한계를 넘어서는 애니메이션: 가변 폰트는 타이포그래피 애니메이션에 유기적인 생명력을 불어넣습니다. 과거에는 각 글자를 이미지처럼 취급하여 복잡한 애니메이션을 만들어야 했지만, 이제는 폰트의 축 값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도 놀랍도록 부드럽고 표현력이 풍부한 움직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 브랜딩 및 로고타입: 브랜드 로고타입이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부드럽게 형태를 바꾸는 애니메이션은 사용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의 변화를 텍스트의 굵기나 너비 변화로 직접 표현하여, 숫자를 훨씬 더 직관적이고 감성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오르면 숫자가 두꺼워지고, 내리면 얇아지는 식입니다.
      • 예술적 표현: 가변 폰트는 디지털 아티스트와 타이포그래퍼에게 새로운 실험의 장을 열어주었습니다. 글자들이 춤을 추고, 숨을 쉬며, 감정을 표현하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 작품들은 웹을 더 풍요로운 예술적 공간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3. 반응형 디자인의 완성: 모든 스크린을 위한 완벽한 가독성

    가변 폰트는 미학적 즐거움을 넘어, 모든 기기에서 최적의 가독성을 제공하는 반응형 웹 디자인의 오랜 숙제를 해결하는 결정적인 열쇠입니다.

    • 진정한 '유동적 타이포그래피(Fluid Typography)': 과거의 반응형 타이포그래피는 특정 화면 너비(Breakpoint)를 기준으로 폰트 크기를 계단식으로 바꾸는 방식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768px보다 작아지면 폰트 크기를 16px에서 14px로 바꾸는 식이었습니다. 이는 브레이크포인트 사이의 수많은 화면 크기에서는 최적의 크기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가변 폰트를 사용하면, CSS의 clamp() 함수와 같은 기술을 결합하여 화면 너비가 변함에 따라 폰트 크기가 물 흐르듯 부드럽고 연속적으로 조절되는 진정한 유동적 타이포그래피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광학 크기(Optical Size)의 마법: 전통적인 활자 인쇄술에서, 숙련된 장인들은 작은 글씨(본문용)와 큰 글씨(제목용)를 각기 다른 디자인으로 만들었습니다. 작은 글씨는 획의 대비를 줄이고 자간을 넓혀 뭉개지지 않고 잘 읽히도록 만들었고, 큰 글씨는 획을 더 가늘고 우아하게 만들어 아름다움을 강조했습니다. 가변 폰트의 opsz (Optical Size) 축은 이 장인정신을 웹으로 가져왔습니다. 브라우저는 폰트의 크기에 맞춰 opsz 축의 값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12px의 작은 본문 텍스트와 72px의 거대한 헤드라인이 각각의 크기에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보이도록 폰트의 디테일을 미세하게 조정합니다. 이는 디자이너가 별도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모든 텍스트의 가독성을 극대화해주는 놀라운 기능입니다.
    • 어떤 환경에서도 최적의 가독성을: 가변 폰트는 다양한 사용자 환경에 맞춰 타이포그래피를 동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 다크 모드 최적화: 어두운 배경에 밝은 글씨를 표시하는 다크 모드에서는, 빛 번짐(Halation) 현상으로 인해 글자가 실제보다 약간 더 굵게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변 폰트를 사용하면, 다크 모드일 때만 font-weight 값을 아주 미세하게(예: 400에서 380으로) 낮추어 라이트 모드와 동일한 시각적 무게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고대비 모드 지원: 저시력 사용자를 위한 고대비 모드에서는 폰트의 굵기를 더 두껍게 조절하여 텍스트를 더 명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4. 시작하기: 가변 폰트를 현실로 가져오는 방법

    가변 폰트는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닙니다. 지금 바로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시작하는 방법도 놀랍도록 간단합니다.

    • 가변 폰트 찾기: 가장 쉽게 시작하는 방법은 Google Fonts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구글 폰트는 수많은 고품질의 오픈소스 가변 폰트를 제공하며, 'Show only variable fonts' 필터를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Adobe Fonts 역시 구독자에게 다양한 가변 폰트를 제공하며, 여러 독립 폰트 제작사(Foundry)의 웹사이트에서도 독특하고 창의적인 유/무료 가변 폰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CSS로 구현하기: 가변 폰트를 웹사이트에 적용하는 것은 기존의 웹 폰트를 사용하는 것과 거의 동일합니다.
      1. @font-face 선언: CSS 파일에 @font-face 규칙을 사용하여 가변 폰트 파일을 불러옵니다. 이때, 지원할 축의 범위를 지정해 줍니다.
      2. font-variation-settings 사용: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font-variation-settings 속성을 사용하여 각 축의 값을 직접 지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font-variation-settings: 'wght' 450, 'wdth' 120;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직관적인 상위 속성 사용: 최근에는 font-weight, font-stretch, font-optical-sizing과 같은 직관적인 CSS 속성들이 가변 폰트를 직접 지원하도록 업데이트되었습니다. font-weight: 100 900; 과 같이 범위를 지정하거나, font-weight: 450; 처럼 특정 값을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훨씬 편리합니다.
    • 디자인 툴에서 경험하기: Figma, Sketch, Adobe XD와 같은 대부분의 현대적인 디자인 툴은 이제 가변 폰트를 완벽하게 지원합니다. 디자이너는 개발에 들어가기 전에 자신의 디자인 툴 안에서 직접 슬라이더를 움직여보며 가변 폰트의 다양한 스타일을 탐색하고, 프로토타입에 인터랙티브한 타이포그래피 효과를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결론: 타이포그래피, 새로운 생명을 얻다

    가변 폰트의 등장은 웹 타이포그래피 역사상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디자이너의 팔레트에 몇 가지 색을 더해준 것이 아니라, 아예 새로운 차원의 캔버스를 제공한 것과 같습니다. 성능, 반응성, 표현력이라는 세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한 가변 폰트는, 텍스트를 더 이상 정보 전달의 수동적인 매체로 머무르게 하지 않습니다.

    이제 텍스트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고, 브랜드의 목소리를 내며, 데이터에 따라 춤추고, 모든 환경에 스스로를 적응시키는 살아있는 유기체가 되었습니다. 디자이너와 개발자는 이 새로운 생명체에게 어떤 개성과 역할을 부여할지 결정하는 창조자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글자들이 우리의 행동과 감정에 실시간으로 반응하기 시작할 때, 디지털 세계와 우리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요? 가변 폰트는 그 질문에 대한 흥미로운 대답의 시작일 뿐입니다.

    Where AI Drives UX, FRAMEOUT

    레퍼런스

    *'Variable fonts'(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CSS_Fonts/Variable_Fonts_Guide)

    *'웹상의 가변 글꼴 소개'(https://web.dev/articles/variable-fonts?hl=ko)

    *'Variable Fonts' (https://v-fonts.com/)